발전설비기술자는 전력생산에 필요한 발전설비를 연구·개발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발전설비를 진단·보수합니다. 이 글에서는 발전설비기술자 연봉 및 전망, 업무환경과 하는 일 그리고 발전설비기술자가 되는 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발전설비기술자가 하는 일
발전설비 기술자가 하는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전소 주요 부속장치의 이상진단 및 예방진단을 실시하고, 기존 발전설비의 성능을 진단한다.
- 진단결과에 대한 자료해석을 통해 시설물 교체 및 정비, 청소 등의 시기를 결정하며, 효율 향상 및 관리를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 건설된 발전시설이 계약서상의 요구조건을 충족하는지 인수성능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관련 부서에 통보한다.
- 발전설비의 주요 재료를 국산화하기 위한 연구·개발 업무도 수행한다.
- 운영 중인 발전설비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설비재료 표면의 코팅기술을 개발한다.
- 발전시설물 및 보조기기의 이상 및 손상에 대한 정확한 원인분석을 통해 손상해석기술을 연구·개발하며, 발전설비에서 발생하는 각종 진동 및 소음 방지를 위한 연구·개발에도 참여한다.
- 발전설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한 진단 및 현장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발전설비기술자의 업무환경
국내 발전소는 한국전력의 자회사를 포함한 공영발전소와 기타 민영발전소로 구분됩니다. 발전설비 기술자는 주로 발전소 및 관련 연구소에서 근무합니다.
전기설비를 다루는 과정에서 위험할 수 있고, 작업 중에 감전, 화재 등 전기와 관련한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발전설비기술자가 되는 방법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전기공학, 전자공학, 제어공학, 메카트로닉스공학을 전공하고 진출합니다. 대학에서는 전기에 대한 이론뿐 아니라 각종 장비 및 부품에 대한 설계, 시공에 대한 실험·실습을 병행하며, 석·박사학위를 소지하면 취업에 다소 유리합니다.
발전설비기술자는 전기의 생산과 수송 등에 필요한 설비, 장비, 부품 등을 점검하고 연구·개발하므로 분석적 사고와 탐구적 성격이 적합하고, 기술설계, 조작 및 통제 능력이 요구됩니다.
수학, 물리학 등의 이학 기초과목과 공학과 기술, 컴퓨터와 전자공학에 흥미가 있어야 하며, 전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력이 뛰어나고 꼼꼼해야 합니다.
발전설비기술자는 한국전력공사, 발전자회사, 민간발전소 및 국공립 전기 관련 연구소 등에서 일하며 전기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인력을 우대합니다. 연구원으로 채용하는 경우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를 위주로 채용하는 편입니다.
- 관련 학과: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시스템제어공학과, 전기설비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등
- 관련 자격: 전기기능장/기사/산업기사/기능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기능사, 전기안전기술사, 전기응용기술사, 메카트로닉스기능장/기사/산업기사(이상 한국산업 인력공단), 정보기기운용기능사(한국기술자격검정원), 정보통신기술사/기사/산업기사, 전파전자통신기사/산업기사/기능사(이상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발전설비기술자의 연봉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발전설비기술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5,045만 원 수준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발전설비기술자 전망
편리한 생활을 원하는 소비욕구 증대와 생산시설의 자동화, 신기술을 적용한 전기제품 개발 등으로 전력사용량이 함께 증가하면서 발전설비기술자의 역할도 커질 전망입니다.
발전설비기술자는 발전소 주요 부속장치의 이상진단 및 예방진단을 실시하고, 기존 발전설비의 성능을 진단하는 일을 책임 지는데, 해당 업무들은 현장에서 자동화가 어렵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일이라는 점에서 꾸준한 수요가 예상됩니다.
한편, 2020년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으로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비대면 업무와 생활이 익숙해지면서 디지털 문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택용 전기사용이 증가하고 향후 전력생산과 소비도 늘어날 전망입니다.
또한 ESG 경영과 관련하여 친환경 전력생산 및 소비에 대한 정부, 기업,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스마트공장 같은 생산시설이 확대되면서 전력사용도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전력설비 관련 기술자의 일자리는 앞으로도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