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arGradient id="sl-pl-cycle-svg-grad01" linear-gradient(90deg, #ff8c59, #ffb37f 24%, #a3bf5f 49%, #7ca63a 75%, #527f32)

국악인 연봉 및 전망

국악인은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우리나라 전통음악을 계승하고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예술활동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국악인의 연봉 및 전망, 업무환경과 하는 일 그리고 국악인이 되는 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악인이 하는 일


국악인은 거문고, 가야금, 해금과 같은 국악기를 연주하거나 판소리, 민요를 부르면서 국악의 맥을 잇는다. 보통 전문 분야에 따라 국악연주가, 국악 성악가, 국악작곡 및 편곡가 등으로 불립니다.

국악연주가는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장구 등의 국악기로 국악을 연주하거나 창작국악을 연주합니다. 연주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 정기·비정기 연주회를 비롯한 각종 행사에 참가하거나 타 단체와 협연하기도 하며, 단독으로 개인 연주회 등을 가집니다.

이들은 악기 조율, 악곡 연습 등을 반복하며 연주회를 앞두고는 리허설을 합니다.

국악 성악가는 북, 장구, 가야금, 거문고, 대금 등 국악기의 장단에 맞춰 가곡, 가사, 시조를 노래하며 판소리, 민요, 창극 등을 부르는 사람으로 연주단체와 함께 공연을 하거나 개인 공연을 엽니다.

창극은 대부분 판소리를 하는 사람과 함께하며, 노래와 연기 실력이 모두 필요합니다. 예전에는 고전작품을 중심으로 공연하였으나 요즘에는 창작곡을 무대에 올리기도 합니다.

국악작곡가 및 편곡가는 새로운 창작국악을 만들거나 연주단체의 공연 성격에 맞게 곡을 편곡하며, 작품발표회를 하기도 합니다. 작곡을 하기 위해서는 국악이론을 알아야 할 뿐 아니라 국악기도 다룰 줄 알아야 합니다.

이밖에 넓은 의미에서 국악 전반에 대한 학문적 이론을 연구하는 국악이론가도 국악인에 포함됩니다.

국악이론가는 국공립박물관 등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고악보(古樂譜), 고서(古書), 민속악 연구, 해외 민속음악 비교연구 등 국악 관련 연구를 담당하며, 대학교수, 대학강사로도 활동합니다.

국악인-연봉-전망-이미지

국악인의 업무환경

단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연주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 매일 출근하여 일정 시간 함께 공연 연습을 한 후 개별 연습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공연 준비기간에는 저녁 늦게까지 연습할 때가 많습니다.

공연은 주로 주말이나 저녁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연주회, 공연을 위해 지방이나 해외로 출장을 갈 때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공연 다음 날은 쉬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악인이 되는 방법

국립국악 중고등학교를 비롯해 예술 중고등학교, 대학의 국악 관련 학과, 기타 사설 교육기관 등에서 국악 또는 전통연극, 무용 등을 배우게 됩니다.

과거에는 유명 예능인의 문하생으로 들어가 도제식으로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많았으나 점차 전문교육기관에서 배출되는 인원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악의 경우 대학교육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어린 시절부터 국악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연습하는 자세가 더 중요합니다.

현재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는 국악(학)과, 한국음악(학)과, 전통무용학과 등이 개설되어 있으며, 입학 시 전공에 따라 실기전형을 치릅니다.

국악 관련 학과에서는 기악, 성악, 작곡, 이론 가운데 전공 분야를 선택하여 공부하는데, 시창, 청음, 국악사 등의 국악이론을 비롯해 연주, 성악, 작곡 실습 등의 실기를 공부하며, 재학 중 학과 연주회를 비롯한 다양한 무대 경험을 쌓습니다.

국악의 특성상 한문으로 된 문헌자료를 읽는 경우가 많아 한문에 대한 지식이 요구되며, 서양음악과 악기에 대한 지식과 실기를 병행함으로써 음악적 안목을 넓힐 필요가 있습니다.

국공립 국악연주단체, 사설단체 등으로 진출하거나 개별적으로 활동합니다. 국공립 단체의 경우 매년 혹은 결원이 있을 때 공개채용을 통해 단원을 뽑는데, 보통 서류전형, 실기시험 등을 치릅니다. 연수단원 형식으로 입단한 후 시험을 거쳐 정식단원으로 입단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사설단체의 경우 인맥, 추천 등을 통해 입단하기도 하며, 판소리는 명창의 문하생으로 출발하여 대학에서 관련 전공을 한 후 단체를 결성해 발표회를 통해 활동하기도 합니다.

국악인은 국공립 연주단체, 창극단, 사설단체 등에 소속되어 있거나 개별적으로 활동합니다. 국공립 단체의 경우 수석이라 하여 악기별로 책임자가 있으며, 지휘자가 단장을 겸하기도 합니다.

연주단체 내 승진은 단체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국공립 연주단체의 경우 ‘평단원 → 부수석 → 수석→ 악장 → 부지휘자 → 지휘자 → 단장’ 등의 승진체계가 있습니다.

수석은 대개 10년 이상의 경력자로 가야금, 대금 등 악기별 수석이 별도로 있습니다. 단장은 대개 별도의 전문가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단체에 따라 단장이 지휘자를 겸하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국악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하며, 음에 대한 청각, 표현력, 창의력 등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도 오랜 연습을 통해 재능을 개발할 수 있는 인내와 끈기가 요구됩니다.

특히 국악기 연주가는 손놀림이 섬세해야 하고, 국악작곡가는 화성진행이나 악기들의 음색을 파악하며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단원으로 활동을 할 때는 팀워크도 중요합니다

  • 관련 학과: 국악(학)과, 한국음악(학)과, 전통공연예술과 등

국악인의 연봉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국립국악원 소속의 국악인의 경우 정단원 기본연봉이 공무원 8급에 준하는 초봉에서 시작돼 연차에 따라 임금이 올라가는 방식입니다. 여기에 다른 국공립 예술단체와 마찬가지로 공연(연주) 수당이 더해지는 구조입니다.

일반적으로 국악인의 99%는 평생 자기 이름으로 된 음반 한 장 내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합니다.

조사에 따르면, 국악인들의 평균 예술 활동 수입은 1,163만 원이며 이 조사의 응답자 29.1%는 ‘개인 수입 중 예술활동 수입이 전혀 없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국악인의 전망

국악 공연이 증감을 반복하며 꾸준히 개최되면서 관객을 만나고 있지만, 국악을 비롯한 전통예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은 편은 아닙니다.

다만, 최근 현대인의 취향에 맞게 해외 작품을 국악화 한다거나 국악을 현대식으로 결합하는 등 현대적인 재장착이 이뤄지는 점은 관객의 관심을 끄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악을 해외에 알리는 노력이 이어지면서 전통예술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실제 해외 공연이 늘면서 국악인 및 전통예능인의 진출 경로가 다양화될 전망입니다.

과거에 비해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문화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점은 전반적으로 전통 예술 공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습니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음악을 접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공연장을 직접 찾기보다는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공연을 접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이는 국악인의 활동무대가 공연 중심에서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을 겨냥한 활동으로 변형되고, 국경 없는 온라인 공간에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는 활동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고용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전통예술 창작활동 지원을 늘리고, 전통 연희의 문화상품화를 위한 축제가 개최되는 등 전통예술 대중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국가적으로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보전하는 차원에서 국악방송 활성화를 지원하고, 매년 예산 편성 및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이들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예술인을 위한 사회안전망으로 예술인 고용보험 등 예술인의 고용안정 제고방안을 마련하는 점도 이들의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매년 배출되는 국악전공자에 비해 국공립 단체와 같이 직업적으로 안정된 일자리는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인지도가 있는 단체는 입직 경쟁이 계속 치열할 전망입니다.

국악인 활동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편이어서 상당수가 교육기관에서 강사로 활동하거나 개인 레슨, 방과 후 교사 등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예술인 평균 연봉과 현실

무용가 연봉 및 전망

가수 연봉 및 전망

Career Momentum

취업과 연봉 및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