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 연봉 및 전망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은 밀가루, 코코아 및 기타 원료를 사용하여 라면, 과자, 국수, 빵, 초콜릿 등의 제품을 제조하는 기기를 조작합니다. 이 글에서는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 연봉 및 전망, 업무환경과 하는 일 그리고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이 되는 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이 하는 일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은 작업표준에 따라 배합원료와 배합비를 확인한 후 원료(밀가루, 소금, 물, 포도당, 효모, 계란분 등)를 운반하여 혼합기의 호퍼(hopper)에 준비된 원료를 일정 비율로 투입합니다.

교반기를 가동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견본을 채취하여 색, 반죽 정도 등을 검사하고 제품 표준과 비교한 후 성형 또는 발효공정 등으로 이송합니다.

제조하려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롤러를 교체하고, 간격을 조절합니다. 생산된 제품이 제품 표준과 비교하여 적당한지 확인합니다.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 -연봉-복지-이미지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의 업무환경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은 미생물 오염을 최소화한 환경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공정에서 위험 요소가 크지는 않습니다. 자동화가 많이 된 곳에서는 모니터로 가공 기계를 조작하며, 자동화가 덜 된 곳에서는 수동 밸브를 사용하여 기계를 조작합니다.

대체로 주 52시간 근무하며, 주 1-2회 정도 혹은 시기에 따라 연장근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매일 출고를 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일정에 따라 근무시간이 변동되는 부분이 있어 조기 출근이 필요한 경우 또는 수출제품을 생산할 때는 심야 및 주말 근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이 되는 방법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이 되는 데 특별한 학력 제한은 없으며 기계조작에 대한 감각이 있으면 취업 시 유리합니다. 또한 식품산업기사, 조리사 등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시 우대를 받는 경우도 있으나 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자격증보다는 관련 업무에서의 경력이 취업 시 좀 더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대부분 취업 후에 회사 내에서 사내 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공 밑에서 현장 경험을 쌓으면서 기능을 익히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고용센터, 생활정보지 등을 통해 취업하거나 개인적 인맥을 통해 채용됩니다. 기계 조작에 대한 기본적인 능력이 있으면 취업 시 유리합니다.

경력과 제품생산에 대한 이해가 쌓이면 반장 등의 중간관리자가 될 수도 있으나, 정형화된 코스가 존재하지는 않고 기업 내부 사정에 따라 업무에 순환이 있는 정도로 다른 분야로의 전직은 거의 없습니다.

신체를 사용하는 작업이 주를 이루므로 시력과 신체적 강인성, 유연성과 균형, 반응 시간 등의 신체 기능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신중한 성격이 업무수행에 있어서 중요합니다.

그 외에도 기계를 다루는 직업이므로 기술 분석과 설계 능력이 필요하며, 기계를 관리할 수 있는 수리 능력이 요구됩니다.

이밖에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이 다루어야 하는 생산설비 중에는 수입장비도 있기 때문에 외국어 독해능력이 있으면 좋고, 작업 중 기계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 관련 학과: 식품가공과, 공업계고등학교의 기계 관련과 등
  • 관련 자격: 식품산업기사, 식품가공기능사, 기계정비기능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의 연봉

한국고용정보원에 의하면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의 연봉은 하위(25%) 연봉 2,800만 원, 중위(50%) 연봉 3,250만 원, 상위(25%) 연봉 3,800만 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 전망

품산업의 성장을 통해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도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경제성장과 함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인구가 증가하여 식품소비가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근래에는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맞벌이 가정 증가 및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기능성 식품이나 선식, 간편식 등 사람들의 수요에 맞춰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산업도 성장하고 있습니다.

쌀가공식품은 정부의 ‘쌀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 촉진 계획’을 통해 쌀 소비 활성화 및 쌀가공 산업 성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습니다.

2011년 쌀 가공산업법 제정 후, 2019년 6월에는 ‘제2차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쌀가공식품 수출 증가 및 가공식품 맞춤형 신품종 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쌀가공식품의 수요 증가는 주로 가공밥과 떡류, 죽류가 판매 규모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는 건강을 위해 쌀을 선호하는 문화의 확산과 코로나19 확산으로 가정식이 늘어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음식료 및 식품가공 분야에 대한 안전 및 위생 수준 기준이 높아지면서 업체 자율적으로 위생 수준을 높이고 농약, 방사선 등 새로운 위해요인에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위생관리체계인 식품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을 도입·적용하고 있습니다.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도입은 가공식품 제조 공정의 규격화와 식품제조 시설의 기계화, 자동화를 가져오게 되므로 관련 인력의 감축이 예상 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식품가공 공장들이 중국, 동남아 등으로 이전하고 있어 국내인력의 감소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과실·채소기계조작원 연봉 및 전망

밑반찬제조원 연봉 및 전망

김치제조원 연봉 및 전망

careermomentum-이미지
Career Momentum

취업과 연봉 및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