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플라스틱제품조립원은 압출·성형·가공 공정을 거친 고무나 플라스틱 부품을 접착제·나사 등을 사용하여 완제품이나 부분품으로 조립합니다. 이 글에서는 고무·플라스틱제품조립원 연봉 및 전망, 업무환경과 하는 일 그리고 고무·플라스틱제품조립원이 되는 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무·플라스틱제품조립원이 하는 일
고무·플라스틱제품조립원이 하는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작업도면을 보고 조립할 부품과 작업순서를 확인한다.
- 단품 생산공정에서 압출·성형·가공된 각종 고무부품과 조립할 각종 부품을 작업대 위에 올려놓는다.
- 부품의 제조 상태를 점검하여 파손되거나 규격 미달인 부품을 제거한다.
- 조립하기 쉽도록 고무부품을 컨베이어벨트 또는 작업대 위에 나란히 늘어놓는다.
- 손가락으로 부품을 눌러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홈이나 틀에 맞춘다.
- 접착제나 나사를 사용하여 고무부품·금속·나무 등에 부착한다.
- 조립품의 군더더기를 제거한다. 완성된 조립제품은 검사실로 보낸다.
고무·플라스틱제품조립원의 업무환경
제품 크기가 작은 경우는 육체적으로 힘들지는 않지만, 제품 조립에 걸리는 시간이 짧아 시간당 많은 수의 조립을 해야 하므로 작업의 긴장감이 높습니다.
조립작업은 대량 생산을 위해 장시간 반복 작업을 할 때가 많으므로 어깨와 목 등에 근육통이 있을 수 있고, 정밀 부품 조립은 눈의 피로 등 직업적 질병의 발생 가능성도 있습니다.
컨베이어시스템 방식은 컨베이어가 끊임없이 조립하는 물건을 이동시키고 조립원들은 정해진 순서대로 자신의 부품을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하는 동안에는 개인적인 행동을 할 수 없습니다.
특히 최근 생산공정이 자동화됨에 따라 자동화 기계를 이용해 일할 때가 많아 작업시간 내내 높은 긴장을 필요로 합니다. 셀 방식의 경우 조립원이 전체 부품을 모두 조립하며,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조립원의 이름을 생산된 제품에 기록하는 경우도 많아 높은 책임이 요구됩니다.
생산제조공장에서는 교대 근무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필요시 야간근무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무·플라스틱제품조립원이 되는 방법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조립원은 취업 시 나이나 학력에 제한을 받지 않는 편입니다. 간단한 조립은 몇 시간에서 며칠간의 현장 교육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자동조립라인이나 정밀조립은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기계, 전기, 전자, 통신 관련 학과 등을 전공하면 업무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정밀전자 기구, 배전반 등을 조립할 때는 공업계고등학교 졸업자 정도의 전기기능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공공직업전문학교에서는 기계조립 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민간직업전문학교에서도 일정 개월 과정으로 PC 조립, 전자기기조립, 반도체 조립과정 등이 개설되어 관련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고무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부주의한 실수는 불량품을 생산하게 되어 작업자의 주의력과 꼼꼼함이 특별히 요구됩니다.
그리고 대량 생산을 위해 장시간 반복 작업을 할 때가 많아 인내심이 요구되며, 컨베이어 방식으로 작업하는 경우에는 동료들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동료에 대한 배려와 협력도 요구됩니다.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조립원은 주로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체, 산업용 고무부품 제조업체, 타이어 제조업체 등에서 일하며, 오랜 경험과 훈련으로 숙련자가 되면 대리, 과장 등의 중간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고무·플라스틱제품조립원의 연봉
한국고용정보원 조사에 의하면 고무·플라스틱 제품 조립원의 연봉은 하위(25%) 2,750만 원, 중윗값 3,200만 원, 상위(25%) 3,730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무·플라스틱제품조립원 전망
고무와 플라스틱은 생활용품, 가전, 건축, 자동차, 항공, 전기·전자, 해양·조선, 철도, 타이어, 신발 등 모든 산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수요에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고무와 플라스틱 제품 가격에 영향을 주는 저유가 기조는 국내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해 투자와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의료용 고무장갑 등의 수요 증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무거워 타이어 소모가 많은 전기자동차의 확산 등은 고무 제품 수요를 증가시킬 것입니다.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이라는 신소재를 사용한 신제품 개발 등도 관련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인 요인입니다.
반면, 최근 들어 고무 및 플라스틱이 잘 썩지 않아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었습니다. 이에 각국은 비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폐기물 부담금을 인상하는 등 환경보호를 위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기업들도 생산에서 유통까지의 전 과정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경영을 개선하고, 소비자들도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최소화하려는 인식과 노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건비 및 물류비용 증가 등으로 기업의 생산설비 해외 이전 및 공정자동화 확대, 중국의 석유화학제품에 대한 자급률 증가,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등도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조립원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